user::1afffdcc-f008-47c2-b16e-aa62d83fe5da



본 자료는 본인의 저작물 중 일부를 발췌한 자료이므로 무단 복제 및 재 배포시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 하늘과 땅의 비율


[Canon EOS 20D F8, 1/100S, ISO100, EV-0.33, FL35mm, Multi Metering mode 08.05 19:13]



[Canon EOS 20D F8, 1/80S, ISO100, EV-0.33, FL17mm, Multi Metering mode 08.05 19:15]



[Canon EOS 20D F8, 1/30S, ISO100, EV-0.33, FL17m, Multi Metering mode 08.05 19:19]



일반적으로 화면에서 여백이 많아지면 안정되고 차분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여백의 많고 적음은 보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의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자연을 대상으로 한 풍경사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대상물 중에 하나가 바로 하늘과 물이라는 여백이다. 하지만 이런 광활한 피사체는 원경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그 것들이 화면 속에서 얼마만큼의 비율로 차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한다. 사진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일수록 하늘이나 바다가 화면 속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게 되고 사진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어색함을 만들게 된다. 사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가 중요하며, 그 주제가 하늘이 된다면 화면 중에서 하늘이 차지하는 비율을 늘려야하고, 바다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있다면 화면에서 바다의 비중을 더 늘려야 할 것이다. 세장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 사진 속에서 하늘의 비중이 제일 많은 사진과 제일 적은 사진은 그 느낌이 다른데, 하늘이 많이 들어간 사진은 평범하고 무엇이 주제인지 애매모호하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노을사진을 찍기 위함이지만 그 노을이 아름다울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할미바위와 할아비바위가 있어서 노을이 아름다울 수 있는데, 오히려 하늘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으니 주제를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일 아래의 사진처럼 꽃지의 명물인 할미, 할아비바위는 물론 한여름 바닷가의 상징물인 파라솔까지 더해져서 전체적인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또 하나 짚고 넘어가야할 것이 있는데, 앞쪽에 파라솔이 없다고 하면 처음 사진과 마찬가지로 백사장에 또 하나의 커다란 여백이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감은 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보조 피사체가 분명 존재해야만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만 한다.





그림은 뷰포인트와 카메라의 앵글에 관한 것이다. 바닷가에서 작은 고깃배가 있는 풍경을 찍으려고 카메라를 꺼내 들었다. Normal 포인트라고 쓰인 지점에서 촬영 했을 때 화면 전체에서 배의 크기는 아주 작게 나타나며, 전경의 느낌이 살아나지 않게 된다. 또한 Eye Level로 촬영한 사진이라면 사진에서 하늘은 아주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때 몇 발자국 앞으로 나아가 Closer Point라고 쓰인 지점으로 이동한다면 배는 더욱 크게 표현될 것이고, 전경으로써 확실한 역할을 하게 된다. 카메라의 앵글 역시 배를 찍기 위해 아래로 숙이게 되어 하늘의 여백도 줄어든다. 이러한 상황들은 망원렌즈보다 화각이 넓은 광각렌즈에서 더욱 크게 작용하는데, 카메라를 조금만 움직여도 화면의 구성은 확연하게 달라진다. 광각렌즈일수록 더욱 적극적으로 다가서라는 말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호숫가의 배를 화면의 제일 아래쪽에 두는 구도를 설정하고 촬영할 때, 배에서 약 5미터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 배쪽으로 세 발자국 더 다가가서 촬영한 사진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왼쪽의 사진은 주제가 무엇인지 알기 힘들며, 무의미하게 하늘이 사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오른쪽 사진은 주제인 배가 확연하게 사진에서 부각되고 있으며, 불필요한 하늘이 최대한 억제되어 사진을 짜임새있게 만들어준다.

이처럼 광각렌즈를 이용한 사진에서 주제를 돋보이게 하기위한 방법으로 주제에 다가서기를 강조하지만, 초보 사진사들은 얼마만큼 다가서야 할지를 알지 못한다. 자신의 사진에서 충분한 느낌이 살아나지 않는다면, 주제에 덜 다가선 것이다. 더 바짝 다가가야 한다.